LIFE

경험이 자산이다

반응형

독서 101

(101)

<호모 데우스 1부 - 호모 데우스 세계를 정복하다> 요약/후기 - 인간이 최강의 동물이 된 이유는 바로 이것

유발 하라리의 저서, 1부 부제는 '호모 데우스 세계를 정복하다'로, 다른 동물과 다르게 어떻게 인간이 나머지 동물을 지배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유기체와 알고리즘감정은 인간에게만 주어진 게 아니라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성질이고,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생화학적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이 문제를 풀고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는 일군의 방법론적 단계를 말하듯, 인간도 결정을 내릴 때 감각, 감정, 욕망이라는 정교한 알고리즘을 통해 내린다.인간과 나머지 포유류 사이 느끼는 감정은 물론 다르다. 소위 연민, 잔인함, 경이로움 등의 개념이 대표적이겠다. 하지만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감정으로 '유대감'이 있는데 정작 육류/낙농업계 종사자는 가축에게서 이 정서적 유대를 끊으며 사업을 진행한다. 농부들은 ..

독서 2025.01.28

<선과 악의 기준은 무엇인가?> 요약/후기 - 교훈을 주는 스페인식 이솝 우화

14세기 에스파냐 정치가이자 우화 작가 돈 후안 마누엘이 쓴 우화집에 있는 48가지 이야기를 엮은 . 에스파냐 버전 이솝 우화라 할 수 있는 책으로 이야기마다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책 전개는 주인공 루카노르 백작이 그의 조언자 파트로니오에게 ‘내가 이러이러한 일을 겪었는데, 혹은 어떤 일을 할 건데 조언 좀’이라고 말하면, 파트로니오는 어떤 사례 하나를 비유로 들려주는 방식이다.이야기 마지막 부분마다 어떻게 행동하는 게 현명한지 알려주는 교훈을 싣고 있다. 교훈 하나하나가 현대사회에서도 통하는 내용을 전달하게끔 이야기와 잘 어우러졌다.어떻게 보면 우화가 전하는 교훈은 인생 처세술과 같다고 볼 수 있지만, 책 제목이 로 정해진 걸 생각해 보면 내가 선택한 행동이 나의 선악을 결정한다고 메시지를 전하는 것..

독서 2025.01.19

<선과 악의 기준은 무엇인가?> 독서 시작 - 무엇이 선과 악을 가를까

스폭크루 활동, 그 두 번째! ❄️🦊 📚 이번에 선정된 도서는 입니다.책표지만 봤을 때는 인문학, 철학책인가?라고 느껴질 법하겠지만, 표지에 "48편의 글"이라고 적힌 걸 보니 선과 악 교훈을 주는 48가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까라고 예상해 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역시 책을 읽어봐야 알겠죠? 어떤 이야기를 할지 궁금해지는 책입니다.다시 한 번 좋은 기회를 주신 스노우폭스북스 출판사에 감사드립니다. ^^

독서 2025.01.07

<호모 데우스> 도입부에서 말하는 인류의 새로운 의제

유발 하라리의 저서, 를 읽기 시작했다. 1장에 들어가기 전에 나오는 도입부에서는 인간이 극복한 과제, 앞으로 극복해야 할(혹은 극복을 갈망하는) 과제를 설명하고 있다.이 포스팅에서는 도입부에서 느낀 요약/후기를 남기고, 앞으로도 다른 챕터도 별도 포스팅으로 남기려 한다.  인간의 다음 과제기아, 질병, 전쟁은 통제 불가능한 게 아닌, 이제 인간이 관리할 수 있는 난제가 되었다.저자가 ‘난제’라고 표현한 걸 보면 아직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맞다. COVID-19 사태도 그랬고, 우리 세대에는 없을 줄 알았던 전쟁이 지구 반대편에서, 그것도 두 대륙에서 일어나고 있다.물론 미국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전쟁을 끝내려고 으름장을 놓으면서 관리하려 들지만, 이해관계가 다들 달라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과..

독서 2025.01.06

<더 빠르게 실패하기> 요약/후기 - 일단 시작하자

스노우폭스북스에서 나온 . 제목에 실패가 들어가 있어도 성공을 위한 자기계발서이고, 왜 더 빠르게 실패하는 게 좋은 건지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알려주고 있다. 가상의 인물을 동원해 지어낸 예시가 아니고 신뢰성 높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알려주니 신빙성 있다. 우리가 실패하는 이유어떤 일을 하려고 할 때 실패하는 이유는 거창한 계획과 정보 수집, 큰 성공만 추구하기 때문인데 그렇다 보니 너무 벅차서 완료할 엄두도 못 내고 결국엔 자리합리화 변명을 세우며 흐지부지 된다. 아직은 때가 아니다, 여건이 나아지면 등의 조건을 내세우며.물론 꿈과 야망을 크게 갖는 건 좋다. 문제는 준비가 덜 되었다고 여기며 시작할 타이밍을 계속 놓치는 게 문제. 때로는 소소한 목표를 가지고 재빠르게 행동에 뛰어들어 한계와 실수를 ..

독서 2024.12.09

<더 빠르게 실패하기> 독서 시작 - 어떻게 해야 더 빠르게 실패할까?

스폭크루 활동 시작합니다~ ❄️🦊 📚선정된 도서는 인데요, 존 크럼볼츠, 라이언 바비노가 저자인 이 책은 의 개정판이라고 합니다. 전자책 위주로 읽다가 간만에 접하는 종이책이라 감회가 새롭습니다. 다시 한 번 좋은 기회를 주신 스노우폭스북스 출판사에 감사드립니다.  책 표지만 보면 자기계발서, 처세술 책으로 여겨집니다. 성공하자는 책이 많은데 이 책은 왜 실패를 강조할까요? 읽어보면 답이 나오리라 믿습니다.  독서 후기로도 곧 찾아오겠습니다.  ^^

독서 2024.12.03

[영어원서소개] Fox versus Fox - 쉬운 반복 단어, 고빈도 어휘 함께 알려주기

어린이를 위한 영어책 소개합니다. 제목은 라는 책으로, 책표지에 그려진 아기자기한 일러스트부터 아이들 마음을 사로잡기 좋은 책 입니다. 제목: FOX VERSUS FOXAR 지수: 0.5~1.2 추정렉사일 지수: 290L이 책은 영어원서 입문 시리즈, AR 1점대에 속하는 마이퍼스트 아이캔리드(My First I can Read!)에 속해 있는데요, 같은 Fox 시리즈에는 Fox Has a Problem, Fox at Night, Fox versus Winter, Fox the Tiger, Fox Is Late, Fox and the Jumping Contest 등 다양한 책이 있습니다. 책 줄거리는 주인공 여우가 어느 따라쟁이 여우를 만나면서 누가누가 진짜 여우인지 뽐내는 내용입니다. 그 과정에서 아..

독서 2024.11.26

<부모의 어휘력> 요약/후기 - 부모가 말하는 대로 자란다

속담 중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이 있다. 바로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은 부모가 평소에 아이에게 말하는 습관을 필수 어휘 126개와 함께 살펴보면서 모범 답안을 제시하고 있다.  챕터는 크게 일상 어휘, 감정 어휘, 생각 어휘로 나뉜다. 어떤 어휘를 다루는지는 다음과 같다.일상 어휘: 단어 하나만 바꿔도 아이의 태도와 행동이 변화하는 어휘감정 어휘: 따뜻한 대화를 이끌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어휘생각 어휘: 아이의 세계를 확장하고 지적이게 하는 어휘126개 어휘 비교를 전부 소개할 수 없지만, 흥미롭게 읽은 부분을 몇 가지 소개하려 한다.수고하다 vs. 대견하다 - ‘수고하다’는 어떤 일을 하느라 애쓰고 힘을 들인 상황에 대한 표현인데, 공부, 양치질, 질서 지키기 등..

독서 2024.11.23

부의 추월차선 중 추월차선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40가지 다짐 필사 후기 - 애매한 책

부의 추월차선. 재테크, 부자 되는 방법에 관심 있다면 들어봤을 만한 도서로 교보문고 온라인 책소개 홈페이지에서도 높은 평점을 자랑한다. 책에서 말하는 내용은 주로 ‘사업을 해야 부자 된다’로, 월급쟁이로 일하는 건 부의 서행차선에 머무는 것뿐이라고 한다. 뭔가를 파는, 즉, 생산자의 입장에 서라는 것이다. 물건이 될 수도 있고, 디지털 콘텐츠가 될 수도 있다. 문제는 네가 실패하는 건 한심하게도 서행차선에 있기 때문이야! -> 내가 방법을 알려주지. Listen 식으로 책팔이 강의팔이들이 흔히 하는 가스라이팅?을 시전하는 인상을 준다. 확실히 나만의 사업, 나만의 콘텐츠로 승부하는 게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건 맞는 말이다. 대신 이 일을 가능하게 발판이 될 근로소득도 결코 무시할 수 없고, 직장인들이 ..

독서 2024.11.18

<숫자사회> 요약/후기 - 경제적 자유는 과연 시대정신일까

이번에 읽은 는 그 어느 때보다도 모두가 돈, 돈, 돈을 외치는 세상의 폐단을 짚어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경제적 자유라는 신조가 어떻게 생겼고, 그 뒤에 숨은 원인과 병폐가 무엇인지 짚으며, 그러면서도 한국 사회가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 독자가 함께 고민하길 바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돈에 미친 사람들은 누구인가저요. 경제적 자유가 가히 시대정신이라 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다. 이걸 추구한다고 결고 잘못된 건 아니지만, 만족을 떠나 숫자적, 외형적 가치만 남은 사회로 변모하면서 오직 경제적 자유만이 나와 가족을 살리는 확실한 수단이 되고 말았다. 왜 이리된 것일까? 이러한 심리를 불러일으킨 건 신뢰 부재라고 책에서는 말한다. 국가가 버팀목이 되지 못할 때 도움을 건네고 존재 가치를 발견하게 해주는 건..

독서 2024.10.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