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경험이 자산이다

반응형

호모데우스요약 3

(3)

<호모 데우스 2부 - 호모 사피엔스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다> 요약/후기 - 인간은 최고의 스토리텔러

유발 하라리의 저서 2부에서는 1부 결론을 토대로 어떻게 우주가 인간 중심으로 돌아가고, 모든 의미와 권위가 인간에게서 나온다는 인본주의를 신봉하게 되었는지 밝히고 있다.  인간은 최고의 스토리텔러인간 협력 네트워크는 허구라는 스토리텔링 아래 이뤄졌다. 사피엔스가 정점에 우뚝 설 수 있던 건 이 협력 네트워크의 힘이 한몫했을 수 있다.그렇다면 우리 생활에 수없이 들어온 개념들이 허구인지 아닌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인간 네트워크 역사를 검토할 때는 실재하는 실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게 좋다. “고통을 느낄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면 된다. 신전이 불타면, 화폐가 가치를 잃으면 신과 은행이 고통을 느낄까? 그렇지 않다. 단지 은유적인 표현이다. 이야기는 인간사회의 토대이며 기둥이고, 역사가 전개..

독서 2025.02.06

<호모 데우스 1부 - 호모 데우스 세계를 정복하다> 요약/후기 - 인간이 최강의 동물이 된 이유는 바로 이것

유발 하라리의 저서, 1부 부제는 '호모 데우스 세계를 정복하다'로, 다른 동물과 다르게 어떻게 인간이 나머지 동물을 지배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유기체와 알고리즘감정은 인간에게만 주어진 게 아니라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성질이고,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생화학적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이 문제를 풀고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는 일군의 방법론적 단계를 말하듯, 인간도 결정을 내릴 때 감각, 감정, 욕망이라는 정교한 알고리즘을 통해 내린다.인간과 나머지 포유류 사이 느끼는 감정은 물론 다르다. 소위 연민, 잔인함, 경이로움 등의 개념이 대표적이겠다. 하지만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감정으로 '유대감'이 있는데 정작 육류/낙농업계 종사자는 가축에게서 이 정서적 유대를 끊으며 사업을 진행한다. 농부들은 ..

독서 2025.01.28

<호모 데우스> 도입부에서 말하는 인류의 새로운 의제

유발 하라리의 저서, 를 읽기 시작했다. 1장에 들어가기 전에 나오는 도입부에서는 인간이 극복한 과제, 앞으로 극복해야 할(혹은 극복을 갈망하는) 과제를 설명하고 있다.이 포스팅에서는 도입부에서 느낀 요약/후기를 남기고, 앞으로도 다른 챕터도 별도 포스팅으로 남기려 한다.  인간의 다음 과제기아, 질병, 전쟁은 통제 불가능한 게 아닌, 이제 인간이 관리할 수 있는 난제가 되었다.저자가 ‘난제’라고 표현한 걸 보면 아직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맞다. COVID-19 사태도 그랬고, 우리 세대에는 없을 줄 알았던 전쟁이 지구 반대편에서, 그것도 두 대륙에서 일어나고 있다.물론 미국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전쟁을 끝내려고 으름장을 놓으면서 관리하려 들지만, 이해관계가 다들 달라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과..

독서 2025.01.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