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경험이 자산이다

반응형

자본주의 4

(4)

뱅크시 전시회 REAL BANKSY 네이팜 작품 소감 - 폭력과 비폭력 공포의 완벽한 병치

그라운드서울에서 5월 24일~10월 20일까지 열리는 리얼 뱅크시 전시회에 가서 많은 작품을 보고 왔습니다. 얼굴 없는 아티스트로 유명한 뱅크시는 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그림으로 풍자해 다양한 시각으로 다루고, 게릴라식으로 도시 여기저기에 작품을 남기며 활동하는 걸로 유명합니다. 여러 작품 중에서도 가장 신선한 충격을 준 작품 하나에 대한 소감을 남겨봤습니다.바로 '네이팜'이라는 제목의 아래 작품이었습니다.   뱅크시의 작품 중에서는 사진이나 고전 그림을 해학적으로 풍자해 만든 작품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천안문 사태 때 탱크 앞을 가로막은 사람 손에 GOLF SALE이라는 피켓을 들고 있게 하거나, 여인들이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 대신 SALE ENDS TODAY라는 사인을 두고 슬퍼하게 하는 등.....

정보 2024.07.02

<자본의 미스터리> 요약/후기

페루 경제학자 에르난도 데소토가 쓴 책으로 자본주의가 지금의 선진국 반열에 오른 국가에서는 성공하고, 그렇지 않은 국가에서는 성공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는 책. 자본이란 단어가 제목에 들어갔다고 해서 시중에 많이 보이는 돈의 XX, 부의 XX, 자본의 XX 등 재테크와 자기계발책이 절대 아니다. 부자되는 비결, 법칙 알려주는 책과는 결이 다르게 오히려 자본주의에 관한 일종의 보고서 같은 책이다. 자본주의의 실태를 보고 핵심을 추릴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큰 공부가 된다고 생각하며 읽었다. 책을 관통하는 핵심 주제는 소유권과 재산권 서구 국가들이 이것을 법 체제로 체계화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 결과 소유권과 재산권은 서구권 선진국에서는 그나마 보장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나라에서는 어떨까? 3장에서 ..

독서 2023.02.16

<노예의 길 7장 경제적 통제와 전체주의> 요약/후기

노예의 길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The control of the production of wealth is the control of human life itself. 부의 생산을 통제하는 것은 인간의 삶 그 자체를 통제하는 것이다. - 힐레르 벨록 (Hillaire Belloc) - 경제적 자유란 무엇인가? 이번 장 마지막 단락부터 바로 인용하면 '선택의 권리를 가진 상태에서 그 권리에 불가피하게 따르는 위험과 책임을 함께 동반하는 우리의 경제활동 자유를 의미'한다. 선택에 따른 결과를 온전히 받아들이며 활동하는 게 경제적 자유다. 누가 대신 선택해주는 걸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중앙경제 계획가들은 독재적 ..

<가난, 아이들이 묻다> 요약/후기

아이들이 다양한 각계각층의 사람들과 질의문답식으로 진행하며 가난이 뭔지 다양한 각도로 들려주는 책. 서론에서 저자 유타 바우어는 부자들은 돈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고 하고, 어떤 청소년의 질문에는 돈을 많이 버는 프로 축구선수가 대답해 주기를 바랐지만, 많은 노력에도 그런 선수는 찾지 못하고 대신 NBA 스타 더크 노비츠키가 대답해 주었다고 한다. 호날두, 일론 머스크 같은 사람도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책에 실린 대답은 정답이 아닌, 개인의 의견이거나 정치적 견해임을 알리고 있다. 인터뷰에는 주로 노숙자, 종교/철학자, 독일 사회민주당 또는 좌파당 소속 외에도 일부 운동선수나 사업가가 답변을 해주었다. 앞서 말했듯이 소속된 집단과 처지에서 가난에 관해 답해주기에, 전반적으로 복지가 절..

독서 2022.06.23
728x90
반응형